단단히

01. 파이썬이란? (2) 본문

python/점프 투 파이썬 +a (youtube)

01. 파이썬이란? (2)

이게아닌데 2022. 3. 9. 20:03

대화형 인터프리터

위 사진은 파이썬을 실행하면 나오는 대화형 인터프리터이다. 인터프리터는 사용자가 입력한 코드를 실행하는 환경이다. 바로바로 결과가 나오는데 대화형처럼 보이기 때문에 대화형 인터프리터라고 부른다.

대화형 인터프린터는 파이선 셸(Python shell)이라고 부른다. >>>의 표시는 프롬프트(prompt)라고 부른다.

 파이썬을 종료하려면 ctlr + z , enter을 누르면 된다. 또는 sys 모듈을 사용해서 종료할 수 있다.

import sys
sys exit()

파이썬의 사칙연산

\\더하기
1+1
\\나누기
6/3
\\곱하기
2*4

변수에 숫자 대입하기

a=1
b=3
a+b
4

변수에 문자 대입하기(Python은 대소문자를 구별한다. 그래서 print를 PRINT라고 적으면 오류가 나온다.)

a = 'Python'
print(a)
Python

print 선언하지 않고 변수 이름 a를 적어도 변수 값을 도출해낸다.

a = 'Python'
a
Python

조건문(if)

>>> a = 4
>>> if a > 1:
...                     print("a is greater than 1")
...
a is greater than 1

if 앞에 . . . 은 문장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뜻이다.

 

** if a > 1: 다음 문장은 Tab 키 또는 Spacebar 키 4개를 이용해 반드시 들여 쓰기 한 후 print("a is greater than 1")이라고 작성해야 한다. 바로 뒤에 이어지는 반복문 for, while 예제도 마찬가지로 들여 쓰기가 필요하다.

들여쓰기를 모르고 실행했을때 error가 났다.

반복문 (while)

>>> i=0
>>> while i < 4:
...     i=i+1
...     print(i)
...
1
2
3
4
>>>

반복문이다. 기본 초기화 선언을 한다. i가 0일때 i가 4보다 작다면 i에 1을 더하고 그 더한 값을 출력해라. 4보다 크다면 반복문은 끝이 난다.

들여쓰기를 안했을때 error가 났다.

들여 쓰기를 4번 해야 하는데 안 하니깐 다음 진행을 못하고 바로 error가 났다.

함수 

>>> def add(a,b):
...     return a+b
...
>>> add(3,4)
7

파이썬에서 def는 함수를 만들 때 사용하는 예약어(프로그램 언어에서 이미 문법적 언어로 사용하고 있는 단어)이다.

add라는 더하기 함수를 만들고 a와 b에 함수가 들어오면 a+b를 수행하고 결과가 돌아온다.

 

지금까지 대화형 인터프리터에서 예제를 봤다. 짧은 예제는 인터프리터가 편하지만 길고 복잡한 프로그램을 만들 때는 대화형 인터프리터보단 에디터를 사용하는 게 편하다. 인터프리터는 종료하자마자 사라지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다.

 

에디터란 소스 코드를 편집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툴을 말한다. 에디터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파이썬을 설치할 때 기본으로 설치되는 파이썬 IDLE 에디터를 사용할 것이다.

 

IDLE

파이썬 IDLE(Integrated Development and Learning Environment)은 파이썬 프로그램 작성을 도와주는 통합개발 환경이다.

IDLE창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IDLE 셸 창(Shell Window) ; IDLE 에디터에서 실행한 프로그램 결과가 표시되는 창으로서 파이썬 셸과 동일한 기능을 한다. IDLE을 실행하면 가장 먼저 나타나는 창이다.

IDLE 에디터 창(Editor Window) ; IDLE 에디터가 실행되는 창이다.

 ※ 앞으로 >>> 프롬프트로 시작하는 예제는 IDLE 셸이 아닌 파이썬 셸로 실행해야 한다.

새로운 파일을 연다. 그럼 아무것도 쓰여있지 않은 IDLE 셸이 나온다.

 

파이썬에서 주석은 #을 사용한다. #으로 시작하는 문장은 그 줄 끝까지 프로그램 수행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설명이 필요할 때 사용한다.

여러 줄의 주석을 달아야 하는 경우엔 """ 또는 ''' 기호를 사용한다.

새로운 IDLE 셸에 print ("Hello World")를 작성하고 저장했다.

작성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은 F5키를 누른다. 그럼 저장하라는 창이 나오고 파일을 지정해 저장해준다.

파일 이름 끝에는 항상 .py로 끝나야 한다. py는 파이썬 파일임을 알려주는 확장자 이름이다.

파일은 IDLE 셸 창에 표시된다.

 

IDLE 에디터에서 F5키를 눌러 실행할 수도 있지만 실제 업무에서는 일반적으로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실행한다.

명령 프롬프트는 [윈도우 키 + R]을 누르면 실행 탭이 나온다. 여기에 cmd를 입력하면 명령 프롬프트 창이 나온다.

 

doit폴더를 불러온것이다. 프롬프트가 doit으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cd(change directory) 명령어는 바로 다음에 나오는 디렉터리로 프롬프트를 옮기는 명령어다.

이제 명령어 python과 실행할 프로그램 이름을 입력하면 파이썬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doit 파일에서 python파일인 hello.py을 가져와 실행해보자.

결과


내가 공부하고 있는 '점프 투 파이썬'에서는 파이썬 공부를 끝낸 후 다음 에디터를 사용하길 권장한다.

이 강의에서는 IDLE를 사용하기에 계속 사용하지만 이 언어가 끝나면 더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는 전문 에디터를

사용해야겠다.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파이참

'python > 점프 투 파이썬 +a (youtube)' 카테고리의 다른 글

01. 파이썬이란?  (0) 2022.03.09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