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Collection
- emmet
- MySQL
- javascript
- 기본코드
- 점프 투 파이썬
- list
- java기초
- 오버라이딩
- form
- Eclipse
- cmd
- 이클립스
- Git이해하기
- 데이터베이스연동
- 맨땅에 해딩
- java
- 컬렉션프레임워크
- arraylist
- jdbc
- 배열
- 필드
- html
- js
- Git알아보기
- 버튼페이지이동
- java입문
- CSS
- 파일이동버튼
- object
- Today
- Total
목록Java Script/개념정리 (7)
단단히
prompt 요즘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 prompt창이 있다. 로딩을 하면 나오는 알림 창인데, 이렇게 팝업창으로 나온다. 요즘에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크게 2가지가 있다. 우선 팝업창 설정이 되어있으면 나오지 않는다. 프롬프트에 입력을 하지 않으면 값이 전송되지 않아 진행이 안될 수 도 있다. 두 번째는 CSS적용이 안된다. 브라우저에서 제공하는 디자인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const name = prompt("이름을 적으시오"); console.log(name); 타입 변환 타입 알아보기 const myName = prompt("이름을 적으시오"); console.log(typeof myName); 타입을 알아보기 위해서 typeof 키워드를 사용하면 된다. string >> number str..
함수 function은 특정 기능을 캡슐화해서 사용한다. 이 캡슐화된 함수가 그저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일을 수행하고 그 기능을 알려주는 것이라고 생각해보자! 그저 수행되고 그곳에서 바로 출력되는 것보다는 더 많은 활용을 가져온다. 결과를 돌려주는(return) 기능, return키워드이다. const age = 96; function calculateKrAge(ageOfForeigner) { return ageOfForeigner + 2; } //함수가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기보단 //함수는 어떤 일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알려주는 것이라 생각하자. const KRAge = calculateKrAge(age); console.log(KRAge); 위와 같이 function 안쪽..
object에서 배웠을 때 xxx.xx의 패턴을 배웠다. 앞쪽(xxx) 부분은 object란 뜻이고 그 안에(xx) 들어있는 것을. xx로 가져온다는 것. 하지만 아직까지 차이점이 있다. console.log(... )는 뒤에 소괄호와 안쪽(값)이 들어있다. 그 이유는 functions이라서 그렇다. functions을 만드는 법을 배워보자. functions function은 반복 하서 사용할 수 있는 코드 조각(코드 캡슐화)이다. 특정값을 넣으면 일정한 반환 값이 오는 틀을 미리 만들어놓는 것이다. (코드의 반복을 줄이는 것) 예를 들어 이름을 넣으면, " HI, ㅇㅇㅇ "라고 출력되도록 말이다. 기본 function 구조 function 함수명(){ } 간단한 function() function h..
array라는 리스트를 만드는 방법도 있지만 리스트로 정리하고 싶지 않거나, 리스트로 정리하면 안 되는 상황도 있다. 모든 값이 같은 의미인 list가 아닌 objects를 배울 것이다. 회원을 관리한다고 생각을 해보자. //회원에 대한 정보 const userId = "haha"; const userPassward = "ha123123"; const userLevel = 3; 역시 좋지 못한 코드다. const user = ["haha","ha123123",3]; 이처럼 배열을 사용할 수 돼있다. 하지만 배열 사용은 적합하지 않다. 왜냐하면, 각 값의 의미를 알수 없기 때문이다. 배열 값 중 "haha"가 무슨 의미인지 알 수 없다. 그 나머지도 같다. (주석을 다는 것들에도 한계가 있을뿐더러 주석을 ..
우리가 데이터를 어떻게 하면 가능한 최선의 방법으로 정리할 수 있을까에 관한 것이지. 사람들은, 자료의 검색이나 삽입을 빠르게 할 수 있는 데이터의 저장 방법에 대해 생각하는데 시간을 쏟아. 우리는 데이터 구조라든지 데이터를 어떻게 정리할지에 대해서 고민을 많이 하지. array : 배열 일주일의 변수를 입력할 때 아래와 같은 식으로 활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 const mon = "mon"; const tue ="tye"; const wed = "wed"; const thu = "thu"; const fri = "fri"; const sat ="sat"; const sun= "sund"; 아래와 같이 배열을 사용하여 저장하는 것이 더 좋다. 한 변수명에 다양한 값을 넣을 수 있다. 숫자(index)로 ..
boolrean은 true 또는 false로 나뉜다. 컴퓨터는 0과 1로 나누는데, 이와 같이 true 또는 false 이분법적으로 나눌 때 사용한다. 자바스크립트의 데이터 타입 중에는 '존재하지 않음' 또는 '정의되지 않음' 또는 '아무것도 없음'을 의미하는 것들이 있다. null은 변수에 아무것도 없음을 뜻한다. null과 false는 다르다. false는 false라는 값이 존재하는 것. 비어있다기보다는, 아무것도 없는 상태로 채워진 것. >>자연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어떤 변수에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 let feelgood = null; 이런 경우엔 feelgood이란 이름이 붙은 상자에 아무것도 없는 상태를 채워 넣은 것이다. 비어있는 공간이 XXX undef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