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단히

연산자, 배열, 제어문 본문

Java/개념 정리

연산자, 배열, 제어문

이게아닌데 2022. 5. 17. 23:47

- 복합 대입 연산자 : 기존의 변수에 저장된 값으로 다른 값과 연산하여 기존 변수에 대입

+=  ,  -=  ,  *=  ,  /=  ,  %=  등

 ; 앞쪽 연산자를 먼저 계산한 다음 뒷 연산자를 구한다.

 

  x += y;       >>       x = x + y;

 참고1. 여기서 중요한 것 = 는 대입의 이미

 참고2. +=는 누적 연산 ( =+ 와 같이 위치를 바꾸면 결과가 다르게 나온다.)

 참고 3. 되도록이면 따로 선언하지 않고 복합 대입 연산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그 이유는 처리속도에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컴퓨터는 한 번에 하나의 처리밖에 못하기 때문에 따로 입력하면 cpu를 계산이 끝날 때까지 다녀와야 하는데, 복합 대입 연산자를 사용하면 java에서 특정 논리회로를 사용하기 때문에 cpu를 1번만 다녀온다.

 

 -비교 연산자

숫자의 크기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는 불리언 자료형으로 한다.

불리언 자료형 : 논리적으로 부합하면 참(true) 임으로 코드를 실행한다.

>            >=           <,              <=,          ==,!=

크다    크거나 같다    작다     작거나 같다      같다      다르다

 

 - 논리 연산자

불리언 자료형의 값인 논리 값의 연산 규칙이다.(유일하게 불리언 자료형이 피연산자로 들어간다.)

연산자는   ||  ,  &&  ,!로 3개가 존재한다.

|| 는 논리합이고 or의 개념이다.

&&는 논리곱이고 and의 개념이다.

! 는 논리 부정이다.

 참고. 피연산자들을 집합이라고 생각하는 게 편하다.

연산 결과

 -조건 연산자(=3항 연산자) : 조건식의 결과가 true , false에 따라 실행결과를 구분하는 연산자

자료형 변수 = (조건식)   ?   true일 때 결과   :   false일 때 결과 ;

이런 모습으로 사용한다. 

 int num = 5;
 String str = (num > 0)  ?  "양수입니다"  :  "음수입니다" ;
 System.out.println("num의 값은 : " + str);
 //
 //결과
 //num의 값은 양수입니다

 

[배열, Array]

 ; 배열은 변수이다. 변수를 많이 사용해야 할 경우에 사용하며, 변수명 1개에 순서를 적용해서 사용한다.

 순서를 인덱스라고 하는데 0번부터 시작한다.

 

-배열 변수를 사용하는 이유

여러 개의 변수가 필요할 때, 각각의 이름을 만들면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이 불편하기 때문이다.

 

배열 문 선언 방법( 변수 만들기 )           int [] num;

배열 변수 개수 생성( 크기 생성 )        num = new int [4]; 

                                                  num [0] = 4;

                                                  num [1] = 0;

                                                  num [2] = 2;

                                                  num [3] = -5;

 

배열은 순환 제어문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쉽고 효율적으로 작성할 수 있다.

 

[ 제어문 ]

 ; 실행방향은 위에서 아래로 내려간다. 구분 자마다 개별적으로 실행하고 다음 코드를 읽는다.

실행방향은 크게 2가지가 있는데, 일정 영역을 선택해 실행하지 않고 건너뛰는 조건(선택) 제어문과

일정 영역을 실행한 후 다시 돌아와서 순환 실행하는 반복(순환) 제어문이 있다.

구분 선택 제어문 순환 제어문
기본형 if while
변형 switch for , do-while

기타 제어문(순환/선택 보조기능) : break, continue, default 

• 제어문의 기본형식

 //제어문의 기본형식
제어문 ( 조건식 ) {
 조건식이 true일 때 실행문;
}

[선택 제어문 ] ; if

//형식 1
if (조건식) {
 true일 때 실행문;
 }
 //
 //형식 2
 if (조건식) {
 true일 때 실행문;
} else {
 false일 때 실행문;
 }
 //
 //형식 3
 if (조건식) {
 조건식1이 true일 때 실행문;
} else if (조건식2) {
 조건식2가 true일 때 실행문;
} else if (조건식3) {
... } else {
 모든 조건식이 false일 때 실행문;
}

 - 조건식에는 true 또는 false를 결과 값으로 갖는 식이나 변수를 사용한다.

 - 연속 구간에는 &&연산자  분산 구간에는 || 연산자를 사용한다.

 

[순환 제어문] while

// 형식 1
while (조건식) {
 true일 때 실행문;
 }

 - 조건식에는 true 또는 false를 결과 값으로 갖는 식이나 변수를 사용한다.

 

[선택 제어문] switch

switch (변수) {
 case 변수의 값1:
 실행문;
 break;
 
 case 변수의 값2:
 실행문;
 break;
 ...
 
 default:
 실행문;
 break; 
 }

[순환 제어문] for

for (초기식; 조건식; 증감식) {
 true일 때 실행문;
 }

for문의 순서

1. 초기 식이 실행된다.

2. 조건식이 실행된다.

3. 조건이 true일 경우 실행문이 실행된다.

4. 증감 식이 실행되고 다시 조건식으로 돌아간다.

5. 반복하다가 조건식이 false가 될 때 for문을 빠져나간다.

'Java > 개념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외처리  (0) 2022.05.22
메서드(Method)  (0) 2022.05.22
실행창(Window+R)에서 바로 Eclipse 열기  (0) 2022.05.17
casting, 연산자(Operator)  (0) 2022.05.17
모듈 교제 Part01. 개발자 환경 구축 [정리]  (0) 2022.05.16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