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CSS
- form
- Eclipse
- js
- 데이터베이스연동
- jdbc
- cmd
- Git이해하기
- 파일이동버튼
- 배열
- 점프 투 파이썬
- 이클립스
- MySQL
- object
- emmet
- 오버라이딩
- java입문
- list
- javascript
- java
- 기본코드
- 맨땅에 해딩
- 버튼페이지이동
- 컬렉션프레임워크
- 필드
- html
- java기초
- Git알아보기
- Collection
- arraylist
- Today
- Total
목록Java/개념 정리 (20)
단단히
메서드는 특정 코드를 반복 실행하기 위해 클래스에서 따로 만들어둔 코드 블록이다. 메서드는 크게 두게로 나눠지는데 내장 메서드와 사용자 정의 메서드(=커스텀 메서드)이다. 기본적으로는 메서드를 정의(생성)한 다음 호출(사용)한다. 코드 형태는 메인 메서드 선언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비슷하다. //메서드 코드 형식 수식어 반환자료형 메서드명(매개변수명) { 반복 사용할 코드 return 반환값; } //메서드 호출 // 메서드명(인수); 생략 가능한 항목이 있는데, 수식어, 메 개변 수명, 반복 사용할 코드, return 반환 값이다. 사실, 수식어는 생략 가능한 항목은 아니다. 공백(=package 수식어)도 가능하기 때문에 선택사항이라고는 하지만 사실 선택사항은 아니다. 메서드는 인수와 매개변수에 맞..
- 복합 대입 연산자 : 기존의 변수에 저장된 값으로 다른 값과 연산하여 기존 변수에 대입 += , -= , *= , /= , %= 등 ; 앞쪽 연산자를 먼저 계산한 다음 뒷 연산자를 구한다. x += y; >> x = x + y; 참고1. 여기서 중요한 것 = 는 대입의 이미 참고2. +=는 누적 연산 ( =+ 와 같이 위치를 바꾸면 결과가 다르게 나온다.) 참고 3. 되도록이면 따로 선언하지 않고 복합 대입 연산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그 이유는 처리속도에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컴퓨터는 한 번에 하나의 처리밖에 못하기 때문에 따로 입력하면 cpu를 계산이 끝날 때까지 다녀와야 하는데, 복합 대입 연산자를 사용하면 java에서 특정 논리회로를 사용하기 때문에 cpu를 1번만 다녀온다. -비교 연산자..
우선 나는 D드라이브에 java와 관련된 파일들을 다 넣었는데, 혹시나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염두해두고 C드라이브에 압축파일과 압축을 푼 Eclipse를 넣어놨다. 0. D드라이브에 [Shortcut]이란 파일을 만든다. - 파일 이름이나 드라이브는 상관이없지만 따로 만들어야한다. 1. 확장자 .exe파일을 오른쪽클릭해서 [바로가기 만들기]를 누른다. - 바로가기 파일은 확장자 .exe를 지우고 [eclipse_(버전)]으로 이름을 바꿨다. 2. 바로가기 파일을 D드라이브 [Shortcut]파일로 이동시킨다. 3. Window + R 을 누르고 실행창에서 ' sysdm.cpl ,3 '을 검색한다. 4. 환경변수에 들어가 변수 ' path ' 를 누르고 [ 편집 ]을 누른다. - path 변수 자체를 삭제..
[자료형의 사용법] 1. 기본 사용법 : 같은 자료형끼리 연산하거나 입력, 출력한다. 정수 + 정수 = 정수 실수 + 실수 = 실수 불리언+불리언 = 불리언 문자열 + 문자열 = 문자열 2. 변형 사용법 : 다른 자료형끼리 연산하거나 입력, 출력한다. 정수 + 실수 = 실수(자동변경) 정수 + 문자열 = 문자열(자동변경) 실수 + 문자열 = 문자열(자동변경) 불리언은 다른 자료형과 함께 사용할 수 없다. [자료형의 수동 변경 ; 강제 변경, 캐스팅( casting )] ; Casting 자동 형 변환 ; 자동변경, 강제 변경, 업 캐스팅, 다운 캐스팅(뒤에 두 개는 상속을 배워야지 이해할 수 있다.) 1. 정수를 실수로 변경: (double)을 사용한다. int number =3; System.out.p..
1. 운영체제 ;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이 제공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 소프트웨어로 시스템과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다양한 자원을 관리하는 자원관리자이다. 1) 하드웨어: 중앙 처리 장치, 기억 장치, 통신 장치, 입출력 장치 등으로 구분된다. CPU(중앙 처리장치), RAM(주 기억장치), ROM(고정 기억장치), Main Board(메인 보드), HDD(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SSD(반도체 대용량 저장장치) 등.. 3) 운영체제의 종류 : 윈도우즈, 리눅스, 유닉스, 안드로이드, 아이오에스(ios)...등 2. 운영체제의 핵심기능 : 주기억 장치 관리(메모리 관리), 프로세스 관리 1) 메모리 관리 : CPU와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상황에서 ..
전 시간 bin폴더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2진수로 되어있다고 언급했다. 컴퓨터는 어떻게 전기신호를 받아드리고 각 자료형마다 크기가 있는데 확인해보자. 우리는 컴퓨터에 다양한 문자와 숫자로 문서를 작성한다. 작성된 문서를 컴퓨터는 0과 1로만으로 변환해서 이해한다. 대문자 26개, 소문자 26개, 숫자 10개, 기호 (대략)100개, 컴퓨터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코드 40개 라고 한다면 약 200개의 전기신호가 필요하다. (초기 컴퓨터는 지금처럼 다양하지 않았음을 고려해야한다.) 이 모든것을 2진수로 표현했을때 8개의 공간이면 표현할 수있다. Bit Bit Bit Bit Bit Bit Bit Bit 한 칸을 1Bit의 저장 공간으로 본다. 8 Bit = 1 Byte 1024 Byte = 1KB 1024 ..